Docker & Kubernetes/[Docker]개발 환경
-
[Docker] 윈도우10 docker 설치, 윈도우에서 리눅스 사용하기 2023.01.19
[Docker] 윈도우10 docker 설치, 윈도우에서 리눅스 사용하기
도커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필수 조건
리눅스 운영체제
설치
방법 1, 2 택
- 방법 1) Hyper-V
- 작업관리자 > 성능 : 가상화가 ‘사용’으로 되어있는지 확인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Hyper-V를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 설치
- 방법 2) WSL2
- 보안상 이유로 Hyper-V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WSL2 사용으로 대체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가상머신 플랫폼 체크
- 재부팅 후 WSL 다운로드
- docker desktop설치
- Use the WSL 2 based engine 체크되어 있음
도커 이미지 저장 경로
기본적으로 Docker Desktop을 설치하고 WSL2를 활성화하면 window나 ubuntu에서 사용하는 docker image들은 C:\Users\user\AppData\Local\Docker\wsl\data\ext4.vhdx 에 저장됨
[C드라이브 → D드라이브 이미지 저장경로]
https://hello-bryan.tistory.com/424
[Docker] Window(WSL2) Docker Image 저장 경로 변경 (C to D)
기본적으로 Docker Desktop 을 설치하고 WSL2 를 활성하면 window 나 ubuntu 에서 사용하는 docker image들은 아래 경로에 저장됩니다. C 드라이브에 저장되기 때문에, 이것저것 테스트를 하다보니 C 드라이브
hello-bryan.tistory.com
도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분선 위에 있는 설치과정을 따르면 된다.
현 과정은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한 내용이다.
윈도우에서는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에는 VMware같은 가상머신을 사용해 설치해야 했다.
윈도우10부터는 WSL(Windows Subsystem Linux)기능을 추가해 추가로 가상머신 설치 없이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
- wsl : 윈도우10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 Ubuntu : 리눅스 배포판
- 리눅스 패포판
리눅스 = 리눅스 커널 (OS의 중심에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리눅스 커널과 함께 기본적인 명령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패키징한 것 - 리눅스 배포판에는 레드햇 계열(CentoOS 등), 데비안 계열(Ubuntu 등)이 있다
- 리눅스 패포판
설치
- WSL 설치
- Ubuntu 설치
- 설치 후 Ubuntu 실행 → new user, password 설정
- wsl -l -v 로 설치 확인
Ubuntu앱에서 진행 or 터미널에서 wsl 입력으로 터미널 사용 가능
WSL 기본 경로 변경
WSL을 구성하는 가상 환경의 기본 경로는 C드라이브이다.
WSL2에서는 vhdx라는 확장명의 가상 디스크가 생성되고 해당 파일 내부에 리눅스 파일 시스템이 동작하는 형태다.
용량이 부담스럽다면 vhdx 파일을 D드라이브로 옮기면 된다.
[Windows 10 WSL default 리눅스 설정하기]
https://lucidmaj7.tistory.com/239
Windows 10 WSL 기본 리눅스 설정하기
Windows 10에서 도입된 Windows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은 Windows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별도의 가상머신을 설치 하지 않고도! WSL에는 Microsoft Store를 통해서 여러가지 배포
lucidmaj7.tistory.com